2023년 11월 30일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 사업 배수관 센서로 물 새는 위치 포착… 홍수 나면 댐 방류 여부 AI가 결정… 하천 인근 영상 분석해 침수 예측 비용 줄이고 용수 공급 능력 강화… 국가 차원 수자원 편익 향상 기대
20세기가 ‘석유 전쟁’의 시기였다면 21세기는 ‘물 전쟁’의 시대라고 한다. 유네스코는 2022년 내놓은 보고서에서 세계 물 사용량이 매년 약 1%씩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2025년경에는 전 세계 국가의 3분의 2가량이 물 부족을 겪고 25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물 부족으로 고통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도 이런 물 부족 상황에서 예외가 아니다. 한국의 연간 강수량은 1200mm 정도로 세계 평균 수치보다 1.3배 정도 높다. 하지만 여름에 강수량이 집중되고 인구 밀도가 높아 1인당 강수량으로 따지면 세계 평균의 12% 정도에 그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유일한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된다.
물 부족 위기가 고조되면서 물 산업 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다. 2025년 물 산업 시장 규모가 약 900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세계 각국이 경쟁적으로 물 산업 정책을 내놓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물 산업의 메카로 주목받는 대전시의 행보에도 속도가 붙었다.
대전시는 2021년 지역특화산업을 물로 지정했다.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 사업’을 통해 2년 동안 집중 지원을 받았다. 지난해 5월에 시작한 해당 사업은 올해 말까지 총사업비 341억 원이 투입되며 전국 6개 지역 특화산업에 인공지능(AI) 융합과 활용을 지원하고 있다. 대전은 물 산업 분야를 특화하여 디지털 물 산업 기반을 구축했다.
주관 기관인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디지털 물 분야에서 AI가 필요한 수요 기업 7곳과 이들에게 인공지능 솔루션을 개발해 줄 AI 전문 기업 9곳을 선정했다. 이후 AI를 기반으로 하는 누수 탐지, 침수 감지, 상수관로 탐지, 수자원 관리 예측, 지능형 밸브, 잔류 염소 예측, 유량 탐지 솔루션 등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 및 성능 검증을 완료했다.
● AI 폐쇄회로(CC)TV로 집중호우 속 하천 범람 막아
AI 전문 스타트업 에너자이(대표 장한힘)는 ‘AI 기반 영상 개선을 통한 고성능 침수 영역 검출 솔루션’을 개발하는 공급 기업이다. 개발과 검증 과정까지 마친 이 시스템은 5개 강의 10개 지점에 설치된 CCTV 영상을 분석해 실시간으로 물 영역을 추출한 뒤 침수 상태를 감지한다. 고도화된 영상 분할 모델로 기상 악조건에서도 영상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감지 범위도 하천 교량 시설을 넘어 외수 범람을 감지할 수 있는 댐 하류, 유원지로 확대됐다.
AI 기반 CCTV는 악천후 속 침수 영역 검출 정확도를 85% 이상으로 상승시켰다.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CCTV 장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교체로 인한 추가 비용 발생이 없다는 것도 장점이다.
● AI로 침수 감지에 누수 탐지까지
데이터 플랫폼 개발 및 컨설팅 전문 기업 윌코모시스템즈(대표 박경화)는 두 가지 과제에 공급 기업으로 참여해 관련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 검증 절차를 마쳤다.
수요 기업인 한국수자원공사를 대상으로 에너자이와 손잡고 ‘AI 기반 영상 개선을 통한 고성능 침수영역 검출 솔루션’ 개발 과제를 진행했다. 또 다른 과제인 ‘AI 기반 상수관로 누수 위험도 탐지 솔루션’ 개발 과제는 가온플랫폼과 추가로 진행했다.
윌코모시스템즈는 2021년 해당 지원 사업의 기획 단계부터 참여했다. 대전지역 특화산업 선정부터 수요·공급 기업 매칭 및 컨설팅 등의 전략과 경쟁력 제고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